중국구매대행 A-Z

해외 구매대행 사업자등록증 신청 (코드)EP02

전국 부동산 분양 정보 2022. 8. 26. 20:32
반응형

해외구매대행업을 하기 위해서는 사업자등록증부터 내야겠죠? 사업자 등록증이 있어야 오픈마켓(스마트스토토어,11번가)들에 입점이 가능합니다. 구매대행업의 사업자등록증은 어떤 업종으로 내야하고, 어떤 코드를 입력해야 하는지 알아볼까요?

구매대행 사업자 등록

공인인증서 로그인/사업자등록신청 페이지 들어가기

사업자등록증을 내려면 방문 신청을 해도 되지만 온라인으로 하면 하루내에 발급되니 온라인으로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일단 국세청 홈택스에 접속을 하셔서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해주세요

국세청-홈택스-사업자등록신청
국세청홈택스

로그인 후 상단메뉴에서 (1)신청/제출 클릭 후, 하단 사업자등록신청을 클릭하면 사업자등록 신청 페이지로 접속가능합니다.

기본정보 입력
홈택스-사업자등록신청-페이지
홈택스 사업자등록신청

사업자등록신청 페이지를 들어가면 처음으로 기본정보 입력을 해야합니다. 생각하셨던 상호명과 개인정보를 적고, 자택번호나 팩스번호,사업장번호(자가에서 구매대행을 진행하실 분)는 없으시면 안적으셔도 됩니다. 정보문자와 이메일을 수신하실분은 동의에 체크하시고 입력해 주세요. 중요한 문자들이니 받아보는게 좋겠죠? 저는 부모님 집에서 구매대행 사업을 할 예정이기에 사업장 소재지는 주소지와 동일에 체크해 주었습니다. 사무실을 임대하신분은 (부)에 체크하시고 기타 필요서류를 첨부하시면 되겠습니다. <하단 사업장 소재지 입력방법>

  • 자가,전세 : 현재 집주소 사업장 주소로 입력 가능.
  • 사무실 임대시 : 임대한 사무실 주소 입력.(기타 서류 첨부)
사업 코드, 업태, 업종 입력
사업자등록-업종등록
홉택스 사업자등록
사업자등록-업종-선택
홈택스사업자등록

기본정보 입력을 마치면 업종 선택을 해야한다. 우측 상단에 업종 입력/수정버튼을 누르면, 두번째 이미지와 같은 업종선택 창이 나온다. 해외구매대행을 하는 사람이 많이생겨나면서 해외구매대행업 카테고리가 새로 만들어졌다. 기존의 전자상거래 소매업으로 하는것 보다 세금부분에서 이익을 볼 수 있다고 한다. 주업종은 - 해외직구대행업, 부업종은 - 전자상거래 소매업으로 선택해 주자. 주업종을 선택해주고 우측 업종코드 검색을 눌러주자.

해외구매대행-사업자등록-업종코드
해외구매대행 업종코드

해외직구대행업의 업종코드인 525105를 입력해주고 조회하기> 하단 선택을 눌러준다. 그러면 하단 이미지와 같은 창이 뜬다.

홈택스-산업분류코드-리스트
홈택스 산업분류코드

가장 아래로 내려주고 전자상거래/소매중개업 (47911) 선택해주세요.

주업종이 선택완료. 등록하기를 눌러주면 입력완료.

부업종은 525101 도매 및 소매업으로 선택해주세요. 부업종을 선택하는 이유는 다량의 주문이 들어올시 구매대행업사업자만 가지고 있으면 중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다량의 주문은 구매대행이 아니라고 판단) 부업종에 소매업도 같이 넣어주어야 안전하게 수입을 할 수 있다고 하네요.

완료하시면 이렇게 나타납니다. 제출서류 하단에 확인하기를 클릭해주셔야 진행이 가능하세요! 주업종 부업종 모두 해주세요.

기타 체크사항
홈택스-사업자등록-체크항목
사업자등록 체크사항

여기까지 왔으면 80%는 끝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업설명에는 <해외구매대행업>이라고 간단하게 적어주고, 개업날짜, 자가면 평수등을 적어주세요. 처음에는 매출이 나오지 않기때문에 간이과세자로 해주세요. 매출이 어느정도 발생하면 자동으로 일반과세자로 변경됩니다. (사이버몰은 선택사항이기때문에 입력하지 않았습니다)

체크를 마쳤으면 하단에 저장 후 다음을 눌러줍니다. 창하나를 넘기면 다음과 같은 창이 나오는데요 , 제출서류 확인하기를 해주셔야 신청서 제출을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구매대행의 첫걸음인 사업자 해외직구사업자등록을 마쳤습니다! 천리길도 한걸음 부터, 한걸음씩 가볼까요~

반응형